가야 고고학
송 의 정 국립김해박물관장
가야
•
가야
(42~562, 《 삼국유사
》)는 변한의 옛 땅인 낙동강 중․하류에서 풍부하게
생산되는 철을 기반으로 삼아 고대 국제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함
. 초기에는 경남
김해의 금관가야
, 후기에는 경북 고령의 대가야를 중심으로 발전한 가야 문화는
뛰어난 세련미를 갖춤
.
•
돌덧널무덤(竪穴式石槨墓
), 부드러운 곡선미의 다양한 토기, 많은 양의 철제
무기류와 금은 상감 장식 기법 등이 가야 문화의 특징
.
철기문화의 전성
Ⅰ
•
한반도 동남부의 소규모 세력으로
출발한 가야가 성장한 데에는 풍부한
철 생산과 활발한 대외 교역 활동이
큰 몫을 차지함
. 가야에서는 철을 농·
공구류
, 무기류를 제작하는 데
사용하였는데
, 철기 제작의 원료인
덩이쇠는 화폐로 쓰기도 함. 가야는
철제 농·공구류를 생산에 이용하여
농업생산력을 높이는 한편
, 새로운
무기와 말갖춤을 갖추어 세력을
확대할 수 있었던 것으로 여겨짐
.
•
가야의 무기는 기능에 따라 적을
살상하는 공격용과 적의 공격에서
자신을 보호하는 방어용으로 구분 할
수 있다
. 공격용 무기에는 칼,
창,
화살
, 꺾창, 도끼 등이 존재. 주로
왕릉 급 무덤에서 용·봉황을 새긴
고리자루칼(龍鳳文環頭大刀
) 과 세
잎 고리자루칼(三葉文環頭大刀)이
출토되는데
, 이는 지배자의 신분과
연맹체 간 결속을 다지는 상징물
.
창은 기마 전술의 도입과 함께
중요한 실용무기로 여겨졌으나 판
모양 쇠창(板狀鐵
鉾)처럼 실용성이
없고 장식성이 강한 창도 존재
.
화살촉은 촉머리의 모양에 따라 그
기능이 구분됨
.
철기문화의 전성
Ⅱ
•
철제 갑옷과 투구가 가야 지역에 출현하는 시기는 4세기 전반
. 5세기에는 고구려
·백제·신라와의 전쟁에 휩싸이는데
, 이와 함께 갑옷과 투구도 그 수요가 증가하여
가야의 전 지역에서 출토됨
.
•
가야의 갑옷은 넓은 철판을 연결하여 만든 판갑옷(板甲)과 작은 철판을 물고기
비늘처럼 엮어 만든 비늘갑옷(札甲)으로 구분
, 비늘갑옷은 보병이 착용하는
판갑옷과 달리 몸을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어서 기바병이 주로 착용함
. 투구는
형태에 따라 챙이 달린 모자형과 복발형으로 나뉨
. 투구의 정수리 분분에는
고구려 무덤벽화에서 볼 수 있는 새의 깃털 같은 다양한 장식이 붙기도 함
.
이러한 갑옷과 투구는 방어용 무구일 뿐만 아니라 주로 왕릉 급 무덤에서
출토되어 당시 지배자들의 상징물이었던 것으로 추정됨
.
철기문화의 전성
Ⅲ
•
말갖춤은 말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재갈
· 굴레 · 고삐, 말 탄 사람의 안정을 위한
발걸이
· 안장 · 가슴걸이 · 뒤걸이, 그리고 장식용인 꾸미개 · 드리개 · 말방울 ·
깃발꽂이 등으로 구성됨
. 신라의 말갖춤이 호화로운 장식으로 구며졌다면 가야의
말갖춤은 실용적인 면을 중시함
. 그러나 5세기 이후부터는 가야에서도 신라와
백제 등의 영향을 받아 화려한 무늬와 금
· 은 등으로 호화롭게 장식한 말갖춤을
주로 사용함
.
•
실생활에 사용하던 철기는 따비
· 괭이 · 쇠스랑 · 낫 등의 농구(農具)와 손칼 ·
도끼
·
끌 · 톱 · 조각칼 등 공구(工具)가 있음. 가야지역에서 단조 기술롤 만들던
철제 농
· 공구류는 농업생산력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일조하여
고대국가가 형성되는 기반을 마련해 줌
.
•
의기성(儀器性) 철기에는 고사리 무늬 장식 쇠창을 비롯해 미늘쇠(有刺利器)가
있음
. 모두 권위의 상징물로 사용하였는데, 주로 가야 각지의 대형 무덤에서 출
토. 현재 부산 지역에서 출토되는 것은 고사리 모양이고, 경남 함안과 합천
지역은 새 모양 장식이 미늘로 부착되어 있는 등 지역마다 특징이 있는 형태를
띰.
가야 각국과 가야의 토기
•
가야토기는 원삼국시대의 토기 제작 기술에 고속 회전 물레
, 굴가마 등 새로운
토기 제작 기법을 가미하여 만듦
. 이런 가야 토기는 굴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구운
회청색 경질토기(灰靑色硬質土器)와 생활 용기인 적갈색 연질 토기(赤褐色軟質
土器)로 구분하는데
, 모두 신라 토기와 비슷하나 기형이 곡선적이며 세련됨.
이단 굽구멍이 뚫린 굽다리접시
, 물결무늬가 새겨 있는 긴 목항아리, 다양한
높낮이와 형태의 그릇받침 등이 가야 토기의 특징
.
•
가야토기는 지역에 따라 그릇 모양과 무늬 등 세부적인 면에서 뚜렷한 차이가
인정되어 몇 개의 지역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
, 그 경계는 대체로 가야 각국의
지배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
. 즉 금관가야가 있던 부산과 경남
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낙동강 하류역
, 아라가야의 옛 지역인 경남 함안지역,
대가야의 옛터인 경북 고령과 그 주변 지역
, 소가야로 비정되는 경남 고성 · 사천
· 진주 지역 등으로 나뉨. 이처럼 가야 각국이 존재하던 지역마다 독특한 토기가
제작됨
. 그러다 6세기 중반 이후 신라의 세력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가야
토기는 독자적인 원형을 잃어버리고 신라 토기의 영향을 받아 이른바 통일 양식
토기 문화로 변화하여 낮은 굽다리접시
, 꺾인 목항아리 등과 같은 토기 형태로
바뀜
.
제사와 의례
Ⅰ
•
가야의 제의행위를 잘 보여주는 것이 죽은 이를 위해 무덤을 만들어 제사를
지내는 장례의식
. 가야인은 무덤을 만드는 동안 제사를 지내면서 각종 토기를
부수어 무덤 주위에 뿌리거나 토기 바닥에 구멍을 뚫는 행위를 하며 죽은 자를
추모함
. 특히 경남 김해 대성동 · 함안 말산리, 경북 고령 지산리 고분군의 대형
무덤에서 보이는 딸려묻기(殉葬)는 당시 가야의 왕이 사회 구성원에 대한 강력한
지배권을 행사하였음을 보여줌
.
•
가야 무덤은 시기에 따라 덧널무덤(木槨墓
), 돌덧널무덤(石槨墓), 돌방무덤(石室
墓)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. 덧널무덤은 나무덧널을 짜고 다시 그안에 주검을
넣은 널을 안치한 무덤으로
, 4~5C에 만들어짐. 무덤 주인공의 사회적 지위에
따라 딸린덧널(副槨)이 추가되어 규모가 커지는데
, 딸린덧널에는 각종 토기류,
으뜸덧널(主槨)에는 의기
· 무기 · 말갖춤 등 여러가지 철제품이 주로 껴묻혀
있음
. 5C를 전후하여 등장한 돌덧널무덤은 깬 돌을 쌓아 만든 돌덧널 안에
주검이 든 널을 안치한 무덤으로
, 가야의 대표적 무덤 양식. 기본적으로 긴
네모꼴 구조이나 가야 각국에 따라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음
. 고령 지산리에서는
돌덧널무덤과 봉토자락의 돌레돌 사이에 딸린무덤(陪塚)인 작은 돌널무덤이
있고
, 경남 합천 옥전에서는 옆벽을 불규칙하게 쌓고 나무로 덮은 특이한 형태도
발견됨.
제사와 의례
Ⅱ
•
돌방무덤은 백제 무덤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짐
. 이러한 양식의 무덤은 경북 고령,
경남 합천 등 대가야 문화권에 주로 분포하며
, 고령 지역의 특색 있는 유물이
껴묻히다가 신라의 영향이 미치면서 신라 양식의 유물로 바뀜
.
•
한편 가야무덤에서는 동물이나 물건을 모방해서 만든 상형 토기가 출토되는데
,
이것은 죽은 이의 안식과 영혼의 승천 등 사후 세계에 대한 상징적 기원과 염원을
표현한 것
. 이것은 제사와 관련된 의식이 끝난 뒤 주인공과 함께 무덤에 묻힌
것으로 보임
.
가야의 대외교류
Ⅰ
•
가야는 바다와 접해 있는 지리적 이점과 풍부한 철 자원을 바탕으로 대륙은 물론
일본과도 활발한 교류관계를 계속 유지하면서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여 독자적인
문화를 창조함
. 경남 김해를 중심으로 한 전기 가야사회에서 대륙과의 교류
관계를 보여주는 유물로는 호랑이 모양 띠고리(虎形帶鉤)와 청동 솥(銅
鍑), 청동
거울(銅鏡
) 등이 있음. 이들 유물은 내몽골이나 중국 동북 지역에 기원을 둔 유목
기마민족 계통의 것으로
, 한반도의 서 · 북한 지역을 거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
높음
. 또한 벽옥제 돌화살촉(璧玉製石鏃), 바람개비 모양 청동기(巴刑同器)와
아가리가 넓게 벌어진 적갈색 토기(土師器) 등은 일본과의 인적 또는 물적 교류를
알려주는 중요한 유물
. 대륙과 왜계 유물은 가야에서 생산한 철과 교환된 것으로,
당시 김해의 금관가야가 대외무역의 중개지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음
.
가야의 대외교류
Ⅱ
•
5~6C 후기 가야의 대외교류는 전기만큼 활발하지 못하였으나, 경북 고령의
대가야를 중심으로 중국 남조
, 왜와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 나감. 또한 가라국왕이
중국 남제로부터 ‘ 보국장군본국왕(輔國將軍本國王
)’의 작호를 받았다는 기록을
보아 중국과 긴밀한 교류 관계를 맺었음을 알 수 있음
.
왜(倭)와는 고령을
중심으로 교류 하였으며
, 일본의 유력한 수장묘(首長墓)에서 대가야 계통의
위세품인 투겁창
, 말재갈, 허리띠꾸미개, 귀걸이, 말띠드리개(劍菱形杏葉),
말얼굴가리개(馬胄)가 발견되고 있음
. 국내에서는 경북 고령 지산리 44호
무덤에서 출토된 오키나와산 야광 주개로 만든 국자
, 경남 고성 송학리 무덤과
경남 합천 봉계리 무덤에서 출토된 일본제 경질토기(須惠器
), 경남 산청
생초고분군에서 출토된 청동 거울 등이 있음
.